다라니[陀羅尼] 범어 dharani의 음역이며 다린니(陀隣尼)라고도 씁니다. 의역해서 총지(總持). 지(能持). 능차(能遮)라 합니다. 무량. 무변한 이치를 섭수하여 지니고 상실하지 않는 염혜력(念慧力)을 일컫습니다. 일종의 기억술로서 하나의 사건을 기억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까지 연상하고 망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12지연기 [十二支緣起, dvadasanga pratityasamutpada] 산스크리트로 '1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연기'라는 뜻) 인연에 따른 생성의 사슬 또는 법칙, 즉 인과의 사슬. 연기는 원래 '인연에 따른 생성'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괴로움의 원인과 태어나고 늙고 죽음을 겪으면서 윤회를 계속하게 하는 사건들의 흐름을 기술하는 근본개념이다. 불교는 존재를 물..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중국불교의 전래 중국불교의 전래는 서력기원 전후 실크로드(silk road)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150년대에는 안식국(安息國)에서 온 지루가참(支婁迦讒)이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이라는 대승경전을 번역하였다. 당시의 역경승들은 인도, 대월지국, 안식국, 강거국에서 온 이방인들이었다. 중국에서는 구도..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법화경 대승불교 초기 경전의 하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Saddharmapuṇḍarῑka-sūtra〉('진실한 가르침의 연꽃이라는 경')의 약칭이다. 천태종(天台宗)을 비롯한 여러 불교 종파에서 불교의 정수를 담고 있는 경전으로 존중되어왔다. 〈법화경〉은 그밖의 여러 종파의 사람들에 의해서도 매우 아름답고 위..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반야경 [般若經, Mahaprajnaparamitasutra] 정식 이름은 마하반야바라밀다경(摩訶般若波羅蜜多經). 흔히 반야경으로 불리는 많은 경전의 총칭. 반야경이라는 경전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며, 최초로 대승(大乘)을 선언한 경전으로서 대승불교의 선구로 인정된다. 이 명칭으로 한역(漢譯)된 경전만 해도 42종에 이르며, 다양한 산스크리트 원전과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11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는 관세음보살. 정식 명칭은 십일면 관세음보살입니다. 각각의 얼굴은 모두 관세음보살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킨 것이며, 한국에서는 석굴암의 본존불(本尊佛) 뒤에 있는 관음보살상 부조(浮彫)가 유명합니다. 이 보살을 뒷받침하는 경전은 《십일면관음신주심경(十一..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2
금강승 [金剛乘, Vajrayana, 탄트라 불교] 금강승 [金剛乘, Vajrayana, 탄트라 불교] 탄트라 불교(밀교)라고도 함. (산스크리트로 '금강' 또는 '번개의 수레'를 뜻함) 인도와 인도 인접국가, 특히 티베트에서 독특하게 발전한 불교형태. 금강승은 불교사에서 대승불교의 사변적인 사상으로부터 개인 삶에서의 불교사상의 실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준제보살 준제보살 준제보살은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 역할을 담당 하는 보살입니다. 준제보살은 엄숙한 모성을 상징화한 보살입니다. 밀교에서는 이 관음을 "칠구지(七俱指) 의 불모(佛母)"라고 칭하는데, 칠구지는 7억이라는 말로써, 모든 부처님의 모체가 되는 이 보살의 공덕이 광대무변하다는 것을 나타내..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대승불교 [大乘佛敎, Mahayana] 대승불교 [大乘佛敎, Mahayana] ('큰 수레'라는 뜻의 산스크리트) 소승불교(小乘佛敎)와 함께 불교의 2갈래 큰 전통의 하나. 한국·중국·일본·티베트에 널리 전파되어 있다. 1세기 무렵 붓다의 가르침을 더욱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움직임으로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경향을 시도..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약사신앙 [藥師信仰] 약사신앙 [藥師信仰] 중생을 질병에서 구제하고, 법약(法藥)을 준다는 약사여래(藥師如來)의 본원력(本願力)에 의거한 신앙. 약사유리광여래(藥師琉璃光如來)·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도 한다. 동방 정유리세계(淨琉璃世界)에 있으면서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고 재앙을 소멸시키며 현세의 복락을 이..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