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월관음 수월관음도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 Potalaka) 화엄경입법계품에 의하면 관음보살은 남인도의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 Potalaka)에 거주하면서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이라고 한다. 이 산은 바다에 면하고 있는데, 온갖 보배로 꾸며졌고 꽃과 과일이 풍부한 숲이 우거졌으며, 맑은 물이 솟아나는 연못이 있..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여래십호[如來十號] 여래십호[如來十號] 여래십호란 부처님의 열 가지 이름이다. 즉 부처님이라는 말과 동의어로서 경전에서는 이들을 사용하고 있다. ① 여래(如來 : Tath gata)란 쉽게 말해서 진리의 체험자라는 말이다. 즉 그렇게 오시고, 그렇게 가신 분이란 뜻이 있으므로 여래(如來)·여거(如去)라는 말로써 설명되고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문수보살 문수보살(文殊菩薩) 문수사리(文殊師利) ·만수시리(滿殊尸利) 또는 만수실리(曼殊室利) 등으로도 음역되는데, 문수와 만수는 ‘묘(妙)’, 사리 ·실리는 ‘두(頭) ·덕(德) ·길상(吉祥)’ 등의 뜻이므로 지혜가 뛰어난 공덕이라는 말이 됩니다. 문수보살은 부처님이 열반한 후 인도에 태어나 ‘반야(..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대길상천녀(大吉祥天女) 대길상천녀(大吉祥天女) 길상천(吉祥天)의 범명은 스리 마하 데비( r -mah -dev ). 음역은 실리마하데비(室利摩訶提毘)이다. 복덕(福德)을 베푸는 여신(女神)이다. 또한 마하실리(摩訶室利), 실리천녀(室唎天女), 길상천녀(吉祥天女), 길상공덕천(吉祥功德天), 보장천녀(寶藏天女), 제일위덕(第一威德) 성취..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Avalokiteshvara)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Avalokiteshvara) 산스크리트로 아바로키테슈바라(Avalokite?vara)이며, 중국에서 뜻으로 옮겨 광세음(光世音)·관세음(觀世音)·관자재(觀自在)·관세자재(觀世自在)·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등으로 썼는데 줄여서 관음(觀音)이라 합니다. 관세음은 구역이며 관자재는 신역인데, 산..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은 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보살이다. 사찰에 가보면 석가모니 부처님 옆에 지장보살과 함께 협시불로 모셔져 있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도량이 아미타여래나 비로자나불이 주불이라면 별도의 관음전이 있는 것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바닷가에 면한 사찰에는 해수관음이 모셔져 있..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七俱 佛母所說准提陀羅尼經) 칠구지불모소설준제다라니경(七俱 佛母所說准提陀羅尼經) K-1338(36-1115). T-1076(20-178). 당(唐) 시대(A.D. 746∼774) 번역. [역] 불공(不空). [약] 칠구지불모다라니경(七俱 佛母陀羅尼經), 준제다라니경(准提陀羅尼經), 준제경(准提經). [이] 불설칠구지불모심대준제다라니경(佛說七俱 佛母心大准提陀羅尼經),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정토신앙 정토신앙(淨土信仰) 이란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믿고 따름으로써 그의 나라인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염원하는 신앙이다. 정토란 일체의 부정한 것이 사라진 청정한 불국토(佛國土)로서 즐거움만이 충만된 세계를 가리킨다. 불교 경전에는 미륵보살의 도솔천정토, 약사여래의 유리광정토 등 여러 가..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능엄주를 독송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불교를 ‘통불교’라고 한다. 통불교의 사전적인 의미는 ‘한 종파에 국한하지 않고 불교전체에 통하는 교리’를 말한다. 그런 통불교적인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부분이 진언이나 다라니일 것이다. 우리나라 불자들이 가장 애용하는 경전은 천수경이다. 천수경은 각종진언과 다라니..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
보살사상 대승불교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무엇일까 아무래도 ‘보살행’ 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보살행이야 말로 대승불교의 ‘트레이드 마크’라 볼 수 있다. 그러다보니 수 많은 보살이 필요에 따라 만들어 지게 되었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보살이 ‘관세음보살’일 것이다. 그렇다면 보살은 어떤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