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와 동지(冬至) 동지는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이때는 태양이 남회귀선, 적도 이남 23.5도인 동지선에 도달한 시절로 해가 하늘에 머무는 시간이 가장 짧으므로 반대로 밤은 가장 길게 되는 것입니다. 지구의 우리 반대편인 남반부에서는 당연히 이날이 하지에 해당하니 밤이 짧고 낮이 길겠..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범종불사(梵鐘佛事)의 공덕 고려 7대 목종왕(穆宗王) 때의 일입니다. 강원도 철원군 심원사(深源寺)에는 범종(梵鐘)이 없어 여러 대중의 정성을 모아 범종불사(梵鐘佛事)의 제공(提供)을 올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심원사 아랫마을에 박덕기(朴德其)라는 장님과 이춘식(李春植)이라는 앉은뱅이가 서로 의지하며 살고 있었는데, 어..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경전을 독송하기 전에 외우는 정구업진언의 의미는? 정구업진언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는 입의 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이란 의미입니다. 불자가 경전을 독송할 때 먼저 정구업진언을 외우게 되는데, 거짓의식이 아닌 깨달음의 마음, 거짓말이 아닌 참된 말, 뒤틀리고 닫혀진 일이 아닌 해탈의 일을 생활 속에 일으키기 위해서는 진언을 통..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예경의식 - 오분향례(五分香禮) 오분향례(五分香禮)란 오분법신(五分法身), 즉 부처님께 향(香)을 공양하고 예(禮)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오분법신(五分法身)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살(菩薩) 및 성문(聲聞), 연각(緣覺)의 수행과정을 설명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견도(見道) 및 수도(修道),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거사(居士) 와 처사(處士)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으로 많은 사찰이 깊은 산중으로 들어가 몇몇 스님들과 부녀자들에 의하여 간신히 명맥을 유지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 시대에 남자들이 절에 간다는 것은 뜻이 있어 출가를 결심한 사람을 제외 하고는, 그야말로 할 일 없고 호구지책으로 절을 찾아간다거나, 아..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복(福) 개념의 근본 의미와 실천의 문제 불교가 흥기한 후 그 보편적인 가르침 때문에 다른 지역의 문화권에 큰 저항 없이 빠른 속도로 전래되었다. 이러한 전래사 속에서 각기 지역의 독특한 토착 문화와 관련하여 불교가 수용·발전되면서 대략 세 가지 유형의 불교의 모습이 전개되었다. 편의상 ‘경전적 불교’와 ‘대중적 불교’ 그리..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윤회(輪廻)와 업(業) 윤회라는 말의 근본 뜻은 함께 달리는것, 함께 건너는 것 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중국의 번역가들은 이를 윤회(輪廻)도는것 이라 변역했다. 경전에는 윤회를 중생들이 여러 세계를 수레바퀴가 돌아가듯 그렇게 돌고 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 존재가 죽으면 이 세상이나 다른 세상에 새로운 몸을 받..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보시하는 이의 7가지 마음 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에서는, 보시를 행할 때 보시자가 지켜야 할 마음가짐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① 보시 받는 대상자의 인격을 가벼이 하지 말 것. 베풀면서 내가 잘난 줄 알고 상대가 못난 줄 알아선 안됩니다. 내가 잘나서 베푸는 것도 아니며, 반대로 상대가 못나..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육바라밀-사무량심-사섭법 대승佛敎 운동이 전개되어 오면서, 참으로 人間다운 수행자는 자기의 깨달음을 추구해가면서도 이웃의 괴로움을 외면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이웃의 깨달음을 자기의 깨달음 보다 앞세우기도 했다. 이런 사람들을 보살이라 불렀다. 이러한 보살의 출현은 전 佛敎사를 새롭게 했으니, 당연히 그들에게..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지장보살(地藏菩薩) 地藏菩薩 오탁악세(五濁惡世)에서 중생의 구제활동을 하는 보살. 산스크리트로는 크시티가르바(Ksitigarbha)라고 하는데, <대지를 모태로 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생명을 낳고 기르는 대지와 같은 능력을 가진 보살을 상징한 것이다. 일체중생(一切衆生)에게 불성(佛性)이 있다고 보는 여래장사상(如來..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