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장소멸 방법 업이라는 것이 원래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니 의지에 의한 심신의 활동을 말합니다. 이것은 청정한 본성을 어기고, 상대와 경계를 보고 생각하며 활동하는 그 모두를 말합니다. 그런고로 본성을 어겨 경계를 보고, 상대에 떨어져 대립관계에 있게 되므로 업의 결과는 진리세계에서 벗어난 대립경계가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도량석(道場釋)의 의미 하루의 시간 중에서 사람의 정신이 가장 맑을 때가 새벽시간입니다. 수면을 통해 피로했던 심신이 새로워진 탓도 있지만 어둠이 가시고 밝음이 퍼져가는 새벽은 대우주의 기(氣)가 가장 충만해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도 천지만물이 깊은 잠에 빠져있는 첫새벽의 목탁소리는 잠들어 있는 유정(有情)·..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3
불교의 인간관 오온(五蘊) 자연과학이 발전하면서 현상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비밀이 속속들이 밝혀져 왔다. 이 작업은 인간이 존재하는 한, 끊임없이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일관되게 진행되어 온 그 방법은 하나의 물질을 계속 쪼개어 분석하면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근본실체가 무엇이냐를 밝히는 것이다.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불교식 제사에서 절은 몇번 할까? 일반적으로 보면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한 번, 돌아가신 분께는 두 번, 부처님이나 큰스님께는 세 번을 합니다. 일반 제사때도 두 번 절하고 반배를 합니다. 하지만 불교식의 제례에서는 세번 절을 하는데, 이는 불법승 삼보 신앙에 근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살아있는 사람이나 돌아가신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108번뇌와 108배 불교의 절하는 숫자에 대한 근거는 뚜렷합니다. 3배를 드리는 것은 삼보(三寶)에 귀의하여 탐심, 진심, 치심의 삼독심(三毒心)을 끊고 삼학(三學, 戒, 定, 慧)을 닦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이고, 53배는 참회 53불(佛)에 대한 경배, 1천배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겁(賢劫)의 1천 부처님께 1배씩 절을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천도제(薦度祭)또는 천도재(薦度齋)는? 천도제(薦度祭)또는 천도재(薦度齋)라고 하는데 천도재라는 표현이 맞지만 주로 천도제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천도재의 천(薦)은 천거함을 의미하고, 도(度)는 죽은 영혼이 내생(來生)의 좋은 곳에 다시 태어나는 길을 안내하고, 그 방법을 가르쳐 주며 이끌어 주는 법도를 말하고, 재(齋..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합장(合掌)의 의미 합장(合掌)이란 ? 글자로만 본다면, 손바닥을 합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불교에서의 합장은 둘이 아닌(나와 남, 무와 유, 안과 밖) 일심이다. 합장게(合掌偈)의 의미를 음미하여 모면 다음과 같다. 손바닥을 합하여 꽃 한 송이 만들고 合掌以爲花 이 몸으로 공양의 도구를 삼아서 身爲供養具 성심을 다..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절(拜禮) 반가운 이, 그리운 이를 만나면 사람들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합당한 예로서 그 마음을 표시하게 됩니다. 불교에서는 신도끼리 또는 스님을 만나면 합장을 함으로써 예를 표시합니다. 합장(合掌)은 두 손바닥을 맞대고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나태는 인도의 예법에서 유래한 인사법입니다. 열 손가락..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심우도(尋牛圖) 수행자가 정진(精進)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십우도 또는 목우도(牧牛圖)라고도 합니다. 심우(尋牛), 견적(見跡), 견우(見牛), 득우(得牛), 목우(牧牛), 기우귀가(騎牛歸家), 망우존인(忘牛存人), 인우구..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을 다스리는 방법 탐진치(貪瞋癡)의 삼독심(三毒心)을 다스리는 방법 1.삼독심의 번뇌를 없애려면 불교에서는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부처님께 귀의한 스님들을 세 가지 보물, 즉 삼보(三寶)라고 합니다. 반면에 탐욕[貪], 분노[瞋], 어리석은 판단[癡]을 마음에 번뇌를 일으키는 독과 같다고 하여 삼독(三毒)이라고 .. 바이로챠나/불교입문 2011.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