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로챠나/불교입문

지장기도 하는 법

왈선생 2011. 3. 13. 11:38

 

실제크기로 보기
 
- 구체적인 지장기도방법 -

사람이면 누구나 건강하고 행복하고 뜻하는 바를 이루며 살기를 바라지 않는 이가 없다. 그런데도 우리의 삶은 우리의 바람처럼 되지 않는다. 타고난 업보와 뜻하지 않은 장애들이 수시로 찾아들어 앞길을 막는 것이다.

이 장애들이 없어지지 않는 이상에는 뜻하는 바대로 살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행복도 향상의 삶도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녕 우리가 뜻하는 바를 이루어 행복하게 살고 공부를 잘하여 향상의 길로 나아가기를 원한다면, 앞의 비구니 스님이 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한차례의 백일기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스님들께서는 종종 말씀하신다.
"이 세상의 장애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첫째는 업장이요, 둘째는 영가의 장애이다."

뜻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시련이 끊이지 않는 까닭이 업장과 영가의 장애 때문이라는 가르침이시다. 그런데 앞의 예와 같은 지장기도를 행하여 영가천도와 업장소멸을 한꺼번에 이루게 되면, 뜻하는 바대로 살기가 그렇게 어려운 일만은 아니다.

종합적인 지장기도법을 논함에 있어 운호스님의 이야기를 이토록 길게 늘어 놓았던 까닭도 다름이 아니었다. 스님의 기도법이 평소에 정형화시키고 싶었던 지장기도법과 너무나 꼭 같았기 때문이다.

특히 큰 일을 이루고자 하는 이나 사업을 시작하는 이, 결혼, 공부, 자식의 일, 삶의 대전환을 가져보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이 종합적인 지장기도법에 따라 백일기도부터 할 것을 간곡히 권하여 본다. 한 번 해보라. 틀림없이 좋은 결실을 맺을 것이다.

그 방법을 다시 한번 새겨보자.

1. ≪지장경≫을 처음부터 끝까지 1번 독송.
2. '나무지장보살'을 천 번 염함.
3. <지장보살예찬문>을 외우며 158배를 함.
4. <지장보살예찬문> 끝부분에서 '지장보살'을 천 번 염함.

그럼 어떻게 하여야 가장 효과적으로 기도를 할 수 있는가? 이들 각각에 대한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1. ≪지장경≫을 읽을 때

먼저 3배를 올리고 ≪지장경≫을 펼친 다음 축원부터 세 번 하여야 한다."이 경을 읽는 공덕을 선망조상과 유주무주 영가의 천도, 그리고 일체중생의 행복을 위해 바칩니다. 대원본존 지장보살이시여,

가피를 내리시어 이 죄업중생의 업장을 녹여주시옵고, …가 꼭 성취되게 하옵소서."(3번) 꼭 이렇게 축원을 하라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원(願)에 맞게 적당한 축원문을 만들어 발원을 하면 된다. 다만 그 공덕을 '나'와 내 주위에만 임하게 하기보다는 영가와 일체중생에게 먼저 돌린 다음, '나'와 내 주위에 가피를 내려주십사 하고 청하라는 것이다.

≪지장경≫을 읽을 때 한문 해독능력이 뛰어난 이라면 한자음으로 읽는 것이 좋지만, 한문 해독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이는 뜻을 한글로 풀어놓은 번역본을 읽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읽는 내가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글자만 읽게 되면, 감동이 없을 뿐 아니라 공덕 또한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영가는 우리의 말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읽는 존재이기 때문에, 읽는 사람이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영가도 알아듣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지장경≫을 읽을 때는 반드시 '나' 스스로에게, 또 영가에게 들려준다는 자세로 정성껏 읽어야 한다.

절대로 '그냥 한 편을 읽기만 하면 된다'는 자세로 뜻모르고 읽어서는 안된다. 스스로 뜻을 새기고 이해를 하며 읽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꼭 명심하기 바란다.

≪지장경≫을 읽다가 특별히 마음에 와 닿는 구절이 있거나,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한 번 읽으며 사색에 잠기는 것이 좋다. 독경을 한다고 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좔좔좔 시냇물 흘러가듯 읽어 내려가야 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독경보다는 간경(看經)이 훨씬 더 수승한 공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간경! 간경은 경전을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는 것을 넘어서서 마음으로 보고 마음으로 느끼며 읽는 것이다. 경전의 내용이 '나'의 마음 속에 또렷이 살아있도록 하는 것, 경전의 내용을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간경인 것이다.

이렇게 간경을 하면 ≪지장경≫의 내용이 그대로 '나'의 것이 되고, 감동 속에서 읽으면 '나'는 차츰 지장보살과 닮아가게 되며, 그 닮음 속에서 천도와 업장 참회는 물론이요 무량공덕이 생겨나게 된다. 거듭거듭 당부드리오니, 결코 ≪지장경≫을 형식적으로 읽지 말기 바란다.

≪지장경≫을 다 읽은 다음에도 그 공덕을 회향하는 축원을 세 번 하여야 한다. "이 경을 읽은 공덕을 ○○(본관) ○씨 집안 선망조상과 유주무주 영가의 천도, 그리고 법계 일체 중생의 행복에 회향하옵니다. 그리고 저희가 지은 업장이 소멸되고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어지이다."(3번)

꼭 ≪지장경≫을 읽은 공덕을 회향하여 마음밭에 새로운 씨를 심어야 한다.  

2. '나무지장보살' 천 번 염송

두번째로 '나무지장보살'을 천 번 염송할 때는 그냥 '지장보살'이라고 염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귀의한다는 뜻의 '나무'를 붙여 '나무지장보살'이라고 불러야 한다. 그리고 108염주를 이용하기보다는, 1080알을 꿰어서 만든 천주(千珠)를 이용하여 한 알에 한 번씩 '나무지장보살'을 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자세는 꼭 무릎 꿇고 앉지 않아도 되며, 반가부좌를 하는 것이 무난하다.

입으로 '나무지장보살'을 부르되 너무 급하거나 느리게 부르지 말고, 적당한 고속도로 또렷하게 마음에 새기며 부르는 것이 좋다. 단, 소리를 크게 내라는 것은 아니다. 환경에 따라 주위에 방해가 되지 않고 '나'의 마음을 잘 모을 수 있는 크기로 염하면 된다.

이때 머리로는 지장보살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이 좋다. 지장보살님께서 높은 곳으로부터 '나'와 나의 주위에 자비광명을 비추어 주는 것을 관상하면서 염불을 하라는 것이다.

만일 자식, 부모 등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를 드리는 경우라면 '나'가 아닌 그 당사자에게 지장보살의 자비광명이 임하는 듯이 관상하여야 한다. 지장보살의 가피가 그 당사자에게 직접 가면 바로 해결될 수 있는데, 가피가 '나'에게 왔다가 그 당사자에게로 옮겨가도록 하면 그만큼 늦어질 뿐 아니라, 자칫 가피가 미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염불을 할 때 마음 속으로는 오로지 업장 참회를 기원하여야 한다. "지장보살님, 잘못했습니다. 모든 잘못을 참회합니다…."

그런데 업장소멸을 바라며 기도하는 불자들 가운데에는 '업장을 소멸시켜 주십시오'하면서 기도하는 이들이 생각 외로 많다.

그러나 이렇게 '소멸시켜 달라'며 기도하기보다는 '잘못했다'고 하여야 한다. '잘못했다'고 하는 것은 주체적인 참회요, '소멸시켜 달라'고 하는 것은 매달리는 참회이다. 잘못은 내가 저질러 놓고 잘못을 소멸시켜 달라는 것은 모순일 뿐이다.

'잘못했다'고 참회하면 업장이 저절로 녹아내리지만, '시켜달라'고 요구하면 언제까지나 매달리는 존재로 남아있을 수밖에 없으며, 그 결과는 하늘과 땅 차이이다.알게 모르게 지은 죄업을 간절히 '잘못했습니다'하면서 참회할 때 내 마음 속의 그릇된 응어리가 녹아 내리고,

마음 속의 응어리가 녹아 내릴 때 그 잘못을 용서하지 않을 존재는 없다. '잘못했습니다' '무조건 참회합니다'고 할 때 모든 업장이 녹아 내리는 것이다.

이상과 다같이 입으로 '나무지장보살'을 부르고, 머리로 지장보살님의 자비광명이 임하는 것을 그리고, 마음 속으로 진심어린 참회를 하게 되면 모든 죄업들이 티끌로 화하고 행복이 충만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1080번의 '나무지장보살' 염불이 끝나고 나서 다시 회향하고 축원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3. <지장보살예찬문>을 외우며 158배

<지장보살예찬문>은 간단한 찬탄의 글과 함께 불보살님의 명호와 권능에 따른 여러 지장보살님의 이름을 외우며 158배의 지심귀명례를 올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지장보살예찬문>은 크게 서론에 해당하는 서분(序分), 본론에 해당하는 정종분(正宗分), 공덕을 회향하는 회향발원(廻向發願)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종분은 다시 10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순서에 따라 내용과 예찬의 방법 등을 함께 살펴보자.

서분 : 향 하나를 피우며 부처님의 강림을 기원하는 간단한 게송으로 시작된다. 무릎을 끊고 앉아 이 게송을 외운 다음 '지심귀명례 시방법계 상주삼보(至心歸命禮 十方法界 常住三寶)'를 염하며 삼보에 귀의하는 첫 번째 절을 올린다.

다시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나무지장왕보살마하살'을 세 번 부른 다음, 지장보살의 공덕을 찬탄하는 다소 긴 게송을 외운다.

정종분 : 이 정종분은 '지심귀명례'와 불보살의 명호를 외우며 157배를 올리는 예찬문의 핵심부분으로, 그 구성을 크게 불·법·승 삼보의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고, 세분하면 10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는 10단락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지심귀명례 본사석가모니불 ∼ 지심귀명례 청정연화목불' (6번 예배)
이 첫 번째 단락에서는 여섯 번의 지심귀명례를 한다. 이 사바세계의 근본 스승이신 석가모니불을 비롯하여 아미타불, 그리고 지장보살의 전생담과 관련하여 ≪지장경≫에 등장하는 네 분 부처님 등, 모두 여섯부처님께 절을 올리는 것이다.

이 때 '지심귀명례'를 외우며 몸을 일으키고, 불보살님의 명호를 외울 때 엎드려 머리를 조아리면 된다.

`지심귀명례 무변신불 ∼ 지심귀명례 진시방삼세일체제불'(21번 예배)
제2단락에서는 '지심귀명례를 올리며 21분 부처님 명호를 외운다. 이 가운데 19분은 ≪지장경≫ 제9 <칭불명호품>에 등장하는 부처님들의 명호로서, 중생에게 한량없는 공덕과 이익을 안겨준다고 한다.

그리고 19분 부처님 다음의 '지심귀명례 오십삼불'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세의 현겁(賢劫)에서 참회를 관장하는 53분의 부처님을 한데 묶어 예배를 드리는 것이요, 마지막 '진시방삼세일체제불'은 시방삼세의 부처님 모두에게 예배를 드리는 것이다.

'지심귀명례 지장보살본원경 ∼ 지심귀명례 진시방삼세일체존법' (4번 예배)
이 세 번째 단락은 법보(法寶)에 대한 지심귀명례이다. 지장신앙의 근본경전인 ≪지장보살본원경≫, ≪지장십륜경≫, ≪점찰선악업보경≫의 세 경전과 시방 삼세에 가득한 모든 진리에 대해 예배를 올리는 것이다.

'지심귀명례 입능발지정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입해전광정 지장보살' (20번 예배)
제4단락부터 제10단락까지는 지장보살에 대한 지심귀명례이다. 이 네 번째 단락은 지장보살님께서 모든 중생을 구제하고 성숙시키기 위해 새벽마다 드는 20가지의 선정삼매 하나하나를 찬탄하여 예배를 올리는 것이다.

가령 '지심귀명례 입능발지정(入能發智定) 지장보살'은 '능히 지혜를 발하는 선정에 드신 지장보살님께 지심으로 귀명례하옵니다'라는 뜻이 된다.

'지심귀명례 이제정력제도병겁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이제정력제기근겁 지장보살' (3번 예배)

제5단락은 중생에게 닥치는 큰 재앙인 도병(刀兵)과 질병(疾病)과 기근(饑饉), 곧 전쟁과 병과 굶주림에 대한 재앙을 남김없이 없애주시는 지장보살님의 위신력에 대한 지심귀명례이다.

'지심귀명례 현불타신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현지옥제유정신 지장보살' (27번 예배)
지장보살님께서 부처님의 몸으로부터 각종 천신, 남녀, 심지어는 염라대왕과 지옥졸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나타내는 27가지 변화신(變化身)에 대해 한 배 한 배 절을 올리는 것이다.

'지심귀명례 증장사중수명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증장사중육도피안묘행 지장보살' (22번 예배)
제7단락은 ≪지장십륜경≫에서 석가모니부처님께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4부대중에게 갖가지 이익을 증장시켜주겠다고 맹세한 지장보살의 증장서원(增長誓願)을 외우며 22번의 예배를 드리도록 되어 있다. 이 서원은 수명, 무병, 자비, 지혜, 광명, 방편 등의 좋은 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지심귀명례 영리우고희구만족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영리우고만족다문 지장보살' (15번 예배)
> 이 부분은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의 공덕을 찬탄한 ≪지장십륜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예배토록 한 것이다. 곧 지장보살님께서 중생의 어떠한 문제와 고통을 해소시켜 주고 어떠한 소원을 충족시켜 주는가를 한배 한배의 절 속에다 담아 놓은 것이다.

지장보살님께 '지심귀명례'를 올리는 제4에서 제9단락 가운데 제8단락까지는 ≪지장십륜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예찬문을 만든 것임을 참고로 밝혀둔다.
'지심귀명례 우살생자설숙앙단명보 지장보살 ∼ 지심귀명례 백천방편교화중생 지장보살' (23번 예배)

이 단락은 ≪지장경≫ 제14 <염부중생업갑품>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살생, 절도, 사음 등의 지은 죄에 따라 받게 되는 단명, 빈궁, 투쟁 등의 과보를 받게 된다는 것을 마음에 새기면서 지장보살님께 22번의 지심귀명례를 올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생을 교화 하기 위해 백천만 가지 방편을 나타내는 지장보살님께 예배를 올리는 것이다.

이상의 제4∼제9단락까지의 지장보살에 대한 지심귀명례는 총 110번이 되며, 이로써 지장보살에 대한 예배는 일단락된다.
⑩ '지심귀명례 문수사리보살 ∼ 지심귀명례 진시방삼세일체현선승' (16번 예배)

제10단락은 지장보살을 제외한 기타 승보에 대한 지심귀명례이다. 곧 문수, 보현, 관음을 비롯한 열세 분의 보살과 시방삼세의 모든 보살, 지장보살의 협시인 도명존자(道明尊者), 그리고 시방삼세의 모든 현성승(賢聖僧)께 지심귀명례를 올리는 것이다.
회향발원 : 이상으로 157배의 지심귀명례를 끝내고, 그공덕을 회향하는 게송을 읊는다.

예배하온 큰 공덕과 뛰어난 행의 가이 없고 수승한 복 회향합니다. 원하오니 고에 빠진 모든 유정들 어서 빨리 극락왕생 하여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무대자대비 대원본존 지장보살'을 세 번 외우고 끝을 맺는다.

지장신앙의 뿌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장보살의 서원과 권능 등을 남김없이 담은 이 예찬문을 읽으며, 어찌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리! 오로지 정성을 다해, 그야말로 '지심귀명례'를 올릴 것을 당부드린다.

4. '지장보살' 염불 1천 번

종합적인 지장기도법 중 마지막으로 하는 1천 번의 '지장보살'염불 때에는, 앞의 '나무지장보살'을 외울 때처럼 천천히 외우기보다는 마음을 집중하여 빨리 외우는 것이 좋다.

'나무'를 빼고 '지장보살' 네 글자만 외우되, 한 손에 천주를 쥐고, 들쉼과 날숨을 가릴 것 없이 끊임없이 외어야 한다. 그야말로 지장보살과 내가 하나 되도록 간절히 염하라는 것이다.

이렇게 천 번의 빠른 '지장보살' 염불 후 순간적인 고요가 찾아들 때, 다시금 머리 조아리며 간절히 발원을 하고 회향을 하면 기도가 끝난다. 이 종합적인 지장기도법에 따라 한차례 백일기도를 하여 새로운 천년의 초석을 다지기를 염원해 본다.

이상으로 6회에 걸쳐 연재하였던 <지장신앙, 지장기도법>에 관한 글을 끝맺음하면서 절대로 잊지 말기를 바라는 한 가지 사항을 당부드리고자 한다.
그것은 지장보살님의 위신력과 자비광명이 이 법계에 가득 차 있으며, 우리가 함께 하고자 할 때 지장보살님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한다는 것이다. 더 분명히 이야기하면, 지장보살님은 우리 속에 이미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분명히 알고 지장보살을 염할 때 우리는 지장보살의 분신이 되고 지장보살과 같은 큰 힘을 지닐 수 있게 된다. 어찌 고통 극복이나 조그마한 소원성취로 그치랴!

정녕 '나' 속의 지장보살님은 자비와 지혜와 행복의 원천이니, 정성을 다해 ≪지장경≫을 읽고 지장보살을 염하며 '나' 속의 지장보살을 발현시켜 보라. 틀림없이 우리 속에 감추어져 있던 불성(佛性)이 개발되어 대해탈의 삶을 누리게 될 것이니…

출전: 지장신앙 지장기도법 (도서출판 효림 불교신행총서 12)


위의 기도법에 따라 158배를 할 때 필요한 지장보살예찬문입니다.

地藏菩薩禮讚文(지장보살예찬문)

저희들이 모든 至誠(지성) 다바치오며
香爐(향로)위에 香(향)하나를 사르고나니
그향기가 온 法界(법계)에 두루하옵고
모든세계 佛國土(불국토)에 고루퍼져서
곳곳마다 祥瑞(상서) 구름 피어오르니
저희들의 간절한뜻 살펴주시사
자비하신 佛菩薩(불보살)님 강림하소서

至心歸命禮(지심귀명례) 十方法界(시방법계) 常住三寶(상주삼보)
(1배)

(무릎꿇고 합장하여 이르기를)

南無 地藏王菩薩 摩詞薩(나무지장왕보살마하살) (3번)

大悲大願(대비대원) 大聖大慈(대성대자) 菩薩(보살)께서는
微妙(미묘)하온 온갖 功德(공덕) 갖추셨나니
大解脫(대해탈)의 큰보배가 나는곳이오
菩薩(보살)들의 맑고밝은 안목이시며
열반으로 인도하는 導師(도사)이셔라
온갖보배 비내리는 如意珠(여의주)처럼
구하는바 모든것을 만족케하며
온갖보배 고루갖춘 섬이시오며
모든 善根(선근) 키워주는 좋은밭이며
대해탈의 낙을 담은 그릇이오며
신묘하온 功德(공덕)내는 淸淨水(청정수)셔라

착한 이를 비춰주는 햇빛이시며
열과번뇌 식혀주는 달빛이시며
번뇌도둑 격파하는 날쌘칼이며
더운여름 나그네의 정자나무며
다리없는 사람에겐 수레와같고
머나먼길 가는이의 자량이시며
길을잃은 나그네의 길잡이시며
미친사람 마음잡는 묘한 藥(약)이며
病苦(병고) 중의 사람에겐 의사이시며
늙은이들 의지하올 지팡이시며
고달픈이 편히쉬는 평상이시며
生老病死(생로병사) 건네주는 다리이시며
佛國土(불국토)로 가는 이의 뗏목이셔라

모든선근 두루닦은 功德身(공덕신)이요
모든 善根(선근) 얻게되는 等流果(등류과)시며
항상굴려 베푸옵는 수레바퀴며
청정계행 견고함은 수미산같고
不退戰(불퇴전)의 용맹정진 금강보배며
안온하고 부동하기 大地(대지)와같고
정밀하온 대선정은 비밀장이며
화려하온 삼매장엄 꽃다발같고
깊고넓은 대지혜는 바다같으며
물듦없고 집착않음 허공과같고
묘한 果報(과보) 가까움은 꽃잎같도다

일체외도 조복함은 獅子王(사자왕)이요
일체마군 굴복시킴 용상이시며
번뇌도적 모두베는 神劍(신검)이시며
번잡함을 싫어함은 獨覺(독각)이시며
번뇌의때 씻어줌은 맑은물이며
모든악취 없애줌은 선풍과같고
온갖결박 끊으심은 칼날같으며
온갖공포 막으심은 아버지같고
온갖원적 막으심은 성곽같으며
온갖액난 구하심은 부모와같고
겁약한이 숨겨줌은 숲과같아라
목이마른 사람에겐 청량수되고
굶주리는 사람에겐 과일이되며
옷이없는 사람에겐 의복이되고
더위속의 사람에겐 큰구름되며
가난속의 사람에겐 여의보되고
공포속의 사람에겐 의지처되며
농사짓는 이에게는 단비가되고
흐린물을 맑힘에는 月愛珠(월애주)되어
모든중생 모든선근 두호하시며
묘한경계 나타내어 즐겁게하고
중생들의 참괴심을 더하게하며
복과지혜 구하는이 만족케하네
번뇌망상 씻어내기 폭포수같고
산란심을 거두기는 삼매경계요

걸림없는 대변재는 水車(수차)같으며
깊은삼매 부동함은 妙色(묘색)과같고
대인욕에 안주함은 수미산같고
온갖법을 간직함은 바다와같고
대신족이 자재함은 허공같으며
햇볕아래 얼음녹듯 미혹없애고
선정지혜 구족된섬 두루노닐며
무공용의 大法輪(대법륜)을 항상굴리는
수승하온 큰 공덕은 측량못해라

오래닦아 견고하온 크신원력과
大慈悲(대자비)와 용맹정진 크신 공덕은
일체보살 뛰어넘어 으뜸이기에
잠시에도 쉬임없이 귀의하옵고
염불하고 예불하고 공양하올때
모든중생 온갖고통 모두여의고
온갖소원 지체없이 거둬주시어
천상나고 열반길에 들게하시니
저희들이 일심으로 정례합니다.

至心歸命禮(지심귀명례) 本師 釋迦牟尼佛(본사 석가모니불)
至心歸命禮 極樂世界(극락세계) 阿彌陀佛(아미타불)
至心歸命禮 獅子奮迅具足萬行佛(사자분신구족만행불)
至心歸命禮 覺華定自在王佛(각화자재왕불)
至心歸命禮 一切智成就佛(일체지성취불)
至心歸命禮 淸淨蓮華目佛(청정연화목불)
至心歸命禮 無邊身佛(무변신불)
至心歸命禮 多寶佛(다보불)
至心歸命禮 寶勝佛(보승불)
至心歸命禮 波頭摩勝佛(파두마승불)
至心歸命禮 獅子吼佛(사자후불)
至心歸命禮 拘留孫佛(구류손불)
至心歸命禮 毗婆尸佛(비바시불)
至心歸命禮 寶相佛(보상불)
至心歸命禮 袈沙幢佛(가사당불)
至心歸命禮 大通山王佛(대통산왕불)
至心歸命禮 淨月佛(정월불)
至心歸命禮 智勝佛(지승불)
至心歸命禮 淨名王佛(정명왕불)
至心歸命禮 智成就佛(지성취불)
至心歸命禮 山王佛(산왕불)
至心歸命禮 無上佛(무상불)
至心歸命禮 妙聲佛(묘성불)
至心歸命禮 滿月佛(만월불)
至心歸命禮 月面佛(월면불)
至心歸命禮 五十三佛(오십삼불)
至心歸命禮 盡十方三世(진시방삼세) 一切諸佛(일체제불)

至心歸命禮 地藏菩薩本願經(지장보살본원경)
至心歸命禮 大乘大集地藏十輪經(대승대집지장십륜경)
至心歸命禮 占察善惡業報經(점찰선악업보경)
至心歸命禮 盡十方三世(진시방삼세) 一切尊法(일체존법)
至心歸命禮 入能發智定(입능발지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無邊之定(입구족무변지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淸淨之定(입구족청정지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慙愧之定(입구족참괴지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諸乘明定(입구족제승명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無憂神通明定(입무우신통명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勝通明定(입구족승통명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普照諸世間定(입보조제세간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諸佛燈炬明定(입제불등거명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金剛光定(입금강광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電光明定(입전광명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上妙味定(입구족상묘미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勝精氣定(입구족승정기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上妙諸資具定(입상묘제자구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無諍智定(입무쟁지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世路光定(입구족세로광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善住勝金剛定(입선주승금강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具足慈悲聲定(입구족자비성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引集題福德定(입인집제복덕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入海電光定(입해전광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以諸定力除刀兵劫(이제정력제도병겁)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以諸定力除疾病劫(이제정력제질병겁)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以諸定力除饑饉劫(이제정력제기근겁)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佛陀身(현불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現菩薩身(현보살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獨覺身(현독각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聲聞身(현성문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大自在天身(현대자재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大梵天身(현대범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他化自在天身(현타화자재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夜摩天身(현야마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兜率天身(현도솔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帝釋天身(현제석천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四大天王身(현사대천왕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轉輪王身(현전륜왕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丈夫身(현장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婦女身(현부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童男身(현동남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童女身(현동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龍身(현용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夜叉身(현야차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羅察身(현나찰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餓鬼身(현아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獅子身(현사자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香象身(현향상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馬身牛身(현마신우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種種禽獸之身(현종종금수지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閻魔王身(현염마왕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地獄卒身(현지옥졸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現地獄諸有情身(현지옥제유정신)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壽命(증장사중수명)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無病(증장사중무병)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重色力名聞(증장사중색력명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重淨戒多聞(증장사중정계다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資具財寶(증장사중자구재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慧捨(증장사중혜사)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妙定(증장사중묘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安忍(증장사중안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方便(증장사중방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覺分聖諦光明(증장사중각분성제광명)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趣入大乘正道(증장사중취입대승정도)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法明(증장사중법명)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成熟有情(증장사중성숙유정)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大慈大悲(증장사중대자대비)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妙稱변滿三界(증장사중묘칭변망세계)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法雨普潤三界(증장사중법우보윤삼계)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一切大地精氣滋味(증장사중일체대지정기자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一切種子精氣滋味(증장사중일체종자정기자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一切善作事業(증장사중일체선작사업)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正法精氣善行(증장사중법정기선행)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有益地水火風(증장사중유익지수화풍)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增長四衆六到彼岸妙行(증장사중육도피안묘행)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憂苦希求滿足(영리우고희구만족)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憂苦飮食充足(영리우고음식충족)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憂苦資具備足(영리우고자구비족)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怨憎愛樂合會(영리원증애락회합)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愈重病身心安穩(영유중벼신심안온)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捨毒心慈心相向(영사독심자심상향)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解牢獄自在歡喜(영해뇌옥자재환희)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囚執鞭撻加害(영리인집편달가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暢身心氣力强盛(영창신심기력강성)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具諸根無有損壞(영구제근무유손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擾惱心無狂亂(영리요뇌심무광란)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貪慾身心安樂(영리탐욕신심안락)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危難安穩無損(영리위난안온무손)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怖畏保全身命(영리외포보전신명)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令離憂苦滿足多聞(영리우고만족다문)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殺生者說宿殃短命報(우살생자설숙앙단명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竊盜者說貧窮苦楚報우절도자설빈궁고초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邪淫者說雀합鴛鴦報(우사음자설작합원앙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惡口者說眷屬鬪爭報(우악구자설권속투쟁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毁妨者說無舌瘡口報(우훼방자설무설창구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瞋에者說醜陋융殘報(우진에자설추루융잔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간린者說所求違願報(우간린자설소구위원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飮食無道者說飢渴咽病報(우음식무도자설기갈인후병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전獵者情者說驚狂喪命報(우전렵자정자설경광상명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悖逆父母者說天地災殺報(우패역부모자설천지재살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燒林者說狂迷取死報(우소림자설광미취사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網捕生雛者說骨肉分離報(우망포생추자설골육분리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毁謗三寶者說盲聾음아報(우훼방삼보자설맹롱음아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輕法慢敎者說永處惡道報(우경법만교자설영처악도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破用常住者說輪廻地獄報(우파용상주자설윤회지옥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汚梵誣僧者說永在畜生報(우오범무승자설영재축생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湯火斬斫傷生者說遞償報(우탕화참흔상생자설체상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破戒犯齋者說禽獸飢餓報(우파계범재자설금수기아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非理毁用者說所求闕絶報(우비리훼용자설소구궐절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吾我貢高者說卑使下賤報(우오아공고자설비사하천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兩舌鬪亂自說無舌百舌報(우양설투난자설무설백설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遇邪見者說邊地受生報(우사견자설변지수생보)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百千方便敎化衆生(백천방편교화중생) 地藏菩薩(지장보살)

至心歸命禮 文殊師利菩薩(문수사리보살)
至心歸命禮 普賢菩薩(보현보살)
至心歸命禮 觀世音菩薩(관세음보살)
至心歸命禮 大勢至菩薩(대세지보살)
至心歸命禮 阿逸多菩薩(아일다보살)
至心歸命禮 財數菩薩(재수보살)
至心歸命禮 定自在王菩薩(정자재왕보살)
至心歸命禮 光目菩薩(광목보살)
至心歸命禮 日光菩薩(일광보살)
至心歸命禮 月光菩薩(월광보살)
至心歸命禮 無盡意菩薩(무진의보살)
至心歸命禮 解脫菩薩(해탈보살)
至心歸命禮 普廣菩薩(보광보살)

至心歸命禮 盡十方三世(진시방삼세) 一切菩薩(일체보살)
至心歸命禮 發揚啓敎勸善大師(발양계교권선대사) 道明尊者(도명존자)
至心歸命禮 盡十方三世(진시방삼세) 一切賢聖僧(일체현성승)
禮拜(예배)하온 큰 功德(공덕)과 뛰어난 行(행)의 가이없고 수승한복 회향합니다

願(원)하오니 苦(고)에빠진 모든 有情(유정)들
어서빨리 極樂往生(극락왕생) 하여지이다

南無 大慈悲(대자비) 大願本尊(대원본존) 地藏菩薩(지장보살) (3번)

...........................................................

總結讚歎(총결찬탄)


地藏菩薩(지장보살) 神妙威力(신묘위력) 비할데없네
金色化身(금색화신) 곳곳마다 고루나투사
三途六道(삼생육도) 衆生(중생)에게 妙法(묘법)설하여
사생십류 모든중생 慈恩(자은)을입네
掌上明珠(장상명주) 천당길을 밝게비추고
錫杖(석장)떨쳐 지옥문을 활짝여시고
누세종친 친척들을 이끌어내어
구품연대 부처님께 禮拜(예배)케하네

나무지장보살마하살


출처: 도서출판 효림간 김현준역 지장보살본원경

'바이로챠나 > 불교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가(僧伽)의 구성  (0) 2011.03.13
성도재일(成道齋日)  (0) 2011.03.13
부처님 오신날의 의미  (0) 2011.03.13
연등축제의 역사와 특성  (0) 2011.03.13
연등공양을 올리는 의미  (0) 2011.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