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양
[ Guiyang , 貴陽(귀양), 贵阳 ]
중국 구이저우성[貴州省]의 행정·경제·교통·문화중심지.
구이양 거리
• 위치
• 중국 구이저우성 먀오링산 동쪽과 윈구이 고원 동쪽
• 경위도
• 동경 106°43′, 북위 26°35′
• 면적
• 2403㎢
• 시간대
• UTC+8
• 행정구분
• 7구, 1시, 3현
• 홈페이지
• http://www.gygov.gov.cn
윈난고원[雲南高原]지역에서는 쿤밍[昆明] 다음 가는 도시로 구이저우성의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지를 이룬다. 약칭은 주[築]이다. 연강수량은 1,163mm, 연평균기온 약 15.3℃, 1월 평균기온 4.9℃, 7월 평균기온 24℃이다. 여름에 덥지 않고 겨울에 춥지 않은 적당한 기후조건을 갖고 있다.
먀오링산[苗嶺] 동쪽과 윈구이[雲貴]고원 동쪽에 위치하며, 구릉지대와 산지로 이루어졌다. 북부에는 해발 1,659m의 윈우산[雲霧山]이 있고, 주요하천으로는 난밍허[南明河]와 위량허[魚梁河]가 있다. 우강[烏江] 상류, 산지로 둘러싸인 해발 1,095m의 소분지에 위치하므로 개발이 뒤졌고, 한족(漢族)이 정착한 것은 청조(淸朝)에 들어와서 이민을 장려한 뒤의 일이다.
서진(西晉) 건흥 원년(313)에 진러현[晉樂縣]이 설치되었고, 송(宋)나라 때는 구이저우성이 되었다. 원(元)나라 때는 순위엔성[順元城]으로, 명·청(明淸)나라 때는 구이저우성성[貴州省城]으로 불렀다. 1949년 이후에 성도가 설치되었다.
원래 지방의 상업중심지에 불과했으나, 도로·철도 등 교통로의 발달로 상권이 확대되었다. 최근에는 야금·철강·방직·전기기기·알루미늄·시멘트·화학과 유리공업이 급격히 발달하고 있다. 도로는 구이양에서 성내(省內)까지 방사상으로 뻗어 있고, 1959년 촨첸[川黔]·첸구이[黔桂] 두 철도가 완공되어 북쪽으로는 충칭[重慶]·청두[成都]를 거쳐 베이징[北京]으로 통하고, 남쪽으로는 류저우[柳州]를 거쳐 잔강[湛江]으로 통한다. 이밖에 시앙첸[湘黔]·구이쿤[貴昆]철도가 있다.
시가지는 6km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성내에 관청·사찰이 많고, 교육기관으로는 사범대학·의학원·인민대학·재정대학·중의학원 등이 있다. 문화유적으로는 구이저우성의 역사·인물·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는 구이저우박물관과 3층 누각으로 아치형 다리와 물에 비친 누각의 풍경이 아름다운 쟈시우루[甲秀樓], 서안사건을 일으킨 장쉐량[張學良]과 양호성이 장제스[蔣介石]를 피해 숨어 지냈던 동굴인 치린동[麒麟洞], 명나라 때 창건한 홍푸사[弘福寺]가 있는 첸링산(黔靈山), 난쟈오[南郊]공원, 황구어수[黃果樹] 폭포 등이 있다.
[출처] 구이양 | 두산백과
'귀주성(贵州省,구이저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공항 (KAL 전세기) 2013.5.16 - 5.21 (0) | 2013.05.28 |
---|---|
구이양 룽둥바오 국제공항 (贵阳龙洞堡国际机场) 2013.5.16 - 5.21 (0) | 2013.05.28 |
갑수루 (貴陽 甲秀樓) 2013.5.17 (0) | 2013.05.27 |
귀주성 17개 소수민족 (2013.5.17) (0) | 2013.05.27 |
귀주민족민속박물관 (貴州民族民俗博物館, 貴陽市 白雲區 金圓路 3號) 2013.5.17 (0) | 2013.05.27 |